[스크랩] 맞춤법 정리 (103가지 예문) 맞춤법 공부 1. ‘되어’와 ‘돼’의 구분: ‘돼’는 ‘되어’의 준말 (가) 되어, 되어서, 되었다 → 돼, 돼서, 됐다 ※ *됬다 (가)′ 일이 잘 {되었다, 됐다}. (나) 할머니께서는 장차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셨다. ☞ 문제 [9] 참조. (나)′ 장차 훌륭한 사람이 돼라. 2. ‘안’과 ‘않..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틀리기 쉬운 우리말 102가지 [틀리기 쉬운 우리말 102가지] ※ 괄호() 안이 맞는 말입니다. 1. 아기가 책을 꺼꾸로(거꾸로) 보고 있다. 2. 소가 언덕빼기(언덕배기)에서 놀고 있구나. 3. 딱다구리(딱따구리)가 쉴 새 없이 나무를 쪼고 있다. 4. 땀에서 짭잘한(짭짤한) 맛이 났다. 5. 오늘은 페품(폐품)을 내는 날이다. 6. 김건..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잘 틀리는 우리말, 이렇게 고치자 잘 틀리는 우리말, 이렇게 고치자 값을 치루었다(x)→ 값을 치렀다 거칠은(x)→ 거친 곰곰히(x)→ 곰곰이 껍질채 먹었다(x)→ 껍질째 먹었다 끔찍히(x)→ 끔찍이 가던지 오던지(x)→ 가든지 오든지 구비구비(x)→ 굽이굽이 금새 동나다(x)→ 금세 동나다 객적다(x)→ 객쩍다 까탈스럽게(x)→ 까..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눈물나게 그리운 예쁜 우리말 눈물나게 그리운 우리말들 예쁜 우리말 미르 : '용'의 순수 우리말 미리내 : '은하수'의 우리말 마루 : '하늘'의 우리말 가람 : '강'의 우리말 아라 : '바다'의 우리말 희나리 : '마른장작'의 우리말 씨밀레 : '영원한 친구'의 우리말 벗 : '친구'의 순수 우리말 한울 : '한'은 바른, 진실한,가득하..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맞춤법)이것만 알면 기본은 한다 / 이승훈 -수필가 이것만 알면 기본은 한다 / 이승훈 - 수필가 몇 년 동안 여러 작품집이나 작품의 교정을 보면서 글 쓰는 사람들이 가장 도외시하고 자주 틀린다 싶은 어법 또는 문법이나 어휘를 맞춤법 자료를 통해 정리해봤습니다. 상당히 고급스런 교정 내용이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우리말이 너무 어..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잘못 적기 쉬운 말 ① 발음을 혼동해서 잘못 적는 경우 • 켸켸묵다(×) → 케케묵다(○) • 꼬시다(×) → 꼬이다, 꾀다(○) • 내노라하는(×) → 내로라하는(○) • 넌즈시(×) → 넌지시(○) • 눈쌀(×) → 눈살(○) • 단촐하게(×) → 단출하게(○) • 덤테기(×) → 덤터기(○) • 맨..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우리말 유래(어원) 100가지 우리말 유래 100가지 1. 가차(假借)없다 "사정을 봐 주거나, 용서가 없다."는 뜻이다. 가차에는 여러 가지 뜻이 있으나, 그 중 하나는 한자를 만드는 방법인 육서(六書)의 한 가지를 뜻하기도 한다. 이 때의 가차는 적당한 글자가 없을 때, 뜻은 다르나 음이 같은 글자를 빌어서 대신 쓰는 방..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한국의 설화 모음 한 국 의 설 화 ( 說 話 ) [ 가 ] 가실과설씨녀설화 감생설화 강감찬설화 개무덤설화(의견설화) 개안설화 개와고양이구슬다툼 게와여우의경주 게와원숭이의떡다툼 거울을처음본사람 거인설화 거타지설화 검군 견묘보주탈환설화 견우직녀설화 견훤구인생설화 견훤형설화(야래자형설화) ..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뜻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500개 순우리말1 1.개개다(개기다) 본뜻:어떤 것이 맞닿아서 해지거나 닳는 것을 가리킨다. 바뀐 뜻:원하지 않는 어떤 것이 달라붙어 이쪽에 손해를 끼치거나 성가시게 하는 것을 뜻한다. 누군가가 달라붙어서 귀찮게 구는 것을 흔히 '개긴다'고 말하는데, 그것은 '개개다'를 잘못 쓴 예다. [예 1] ..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각종 인사말 모음 각종 인사말 모음 ▶ 연하/명절 * 새해를 맞이하여 행운과 평안을 기원합니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소원 성취하시기를 바랍니다. * 새해의 기쁨을 함께하며 평소의 후의에 감사합니다. * 희망찬 새해를 맞아 가정이 화목하고 건강하기를 기원합니다. * 새해에는 더욱 건강하시고 뜻한 .. 국어공부방 2016.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