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순수한 우리말 100가지 묵죽(墨竹) 수운 유덕장(岫雲 柳德章, 1675∼1756) 조선, 1747년 순수한 우리말 100가지 1. 가시버시 : 각시 신랑을 이르는 말. 2. 기스락 : 초가의 처마끝. 3. 길라잡이 : 길을 인도하는 사람(줄임말 : 길잡이). 4. 곧추다 : 굽은 것을 곧게 하다. *구부정한 허리를 곧추다. 5. 나들목 : 나가고 들고 하..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언어 순화 자료(맞춤법, 의미의 중복, 용언의 활용) 1. 맞춤법 아이고 허리 아퍼 -> 아파 너무 촐삭대는 걸 보더니 -> 촐싹대는 화가 나려그려네 -> 나려 그려네 전 그정도는 아니고 -> 그 정도 타고 난 장사꾼 -> 타고난 울려퍼지면 -> 울려 퍼지면 다 잘 된데요 -> 된대요 실패 했다면 -> 실패했다면 생각 될 때 -> 생각될 상가..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고시조 백과 [가] 올해 댜른 다리 (김 구) 가노라 삼각산(三角山)아 (김상헌) 이런들 엇더하며 (이방원) 가마귀 눈비 마자 (박팽년) 이 몸이 주거 가셔 (성삼문) 가마귀 싸호는 골에 (정몽주 어머니) 이 몸이 주거 주거 (정몽주) 가마귀 검다 하고 (이 직) 이시렴 브디 갈따 (성종) 간밤의 부던 바람에 (유응..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숫자와 단위를 나타내는 우리말 숫자와 단위를 나타내는 우리말 온 : 100 - 백(百) 즈믄 : 1,000 - 천(千) 거믄, 골 : 10,000 - 만(萬) 잘 : 100,000,000 - 억(億) 가마 : 갈모나 쌈지 같은 것을 셀 때 100 개를 이르는 말. 갈모: 비가 올 때에 갓 위에 덮어쓰는, 기름에 결은 종이로 만든 물건. 펴면 고깔 비슷하게 위는 뾰족하며 아래는 동..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창작에 쓰면 좋은 `순 우리말` 창작에 쓰면 좋은 우리 말 가납사니 : 되는 말 안 되는 말 가리지 않고 떠들어대는 사람 가르친 사위: 독창성이 없고 시키는 대로만 하는 어리석은 사람 가리사니 : 사물을 판단할 만한 지각 감또개 : 꽃과 함께 떨어진 어린 감 감치다 : 잊혀지지 않고 늘 마음에 감돌다 개밥바라기 : 저녁에..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비에 관한 예쁜 우리말 비에 관한 예쁜 우리말 가루비 - 가루처럼 포슬포슬 내리는 비. 잔 비 - 가늘고 잘게 내리는 비. 실 비 - 실처럼 가늘게, 길게 금을 그으며 내리는 비. 싸락비 - 싸래기처럼 포슬포슬 내리는 비. 날 비 - 놋날(돗자리를 칠 때 날실로 쓰는 노끈)처럼 가늘게 비끼며 내리는 비. 발 비 - 빗발이 보..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우리 조상들의 32가지 물의 종류와 이름 한국인들의 32가지의 물의 종류 낱말 풀이 * 뒤란 : 집채 뒤의 울안. 호리(戶裏) 옛날 시골집에 가면 다 이 뒤란이 있었음. * 정안수 : 정화수(井華水)라고도 함. 이른 새벽에 길은 우물물. 정성을 들이거나 약을 달이는데 씀. * 조앙단 : 이 말은 국어사전이나 백과사전에도 없는 말이지만 우..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2,500자만 알면 당신은 완벽한 1급 실력 읽기한자 (3,500자) 쓰기한자 (2,500자) 준6급 6급 5급 준4급 4급 준3급 3급 2급 1급 준6급 쓰기한자 (총 50자) 敎 가르칠 교 校 학교 교 九 아홉 구 國 나라 국 軍 군사 군 金 쇠 금, 성 김 南 남녘 남 女 계집 녀(여) 年 해 년(연) 北 북녘 북, 패할 배 大 큰 대 東 동녘 동 六 여섯 륙(육) 萬 일만 만 母 ..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가훈으로 적절한 문구~! 1 家和萬事成 (가화만사성) 가정이 화목하면 무엇이든지 잘되어 나간다 2 苦盡甘來 (고진감래) 고생끝에 낙이 온다는 말 3 公平無私 (공평무사)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 4 克己復禮 (극기복례) 욕망을 억제하여 바른행동을 한다 5 公生明 (공생명) 공평하면 판단을 그르치지 않는다 6 見仁.. 국어공부방 2016.01.09
[스크랩] 각종 축하 메세지 및 조문글,,,모음 .▒ 어버이날 ː 부모님 더욱 건강하시고 만복 누리십시오 ː 높고 깊으신 부모님 은혜에 머리숙여 감사합니다 ː 엄마, 아빠 사랑해요. 더욱 건강하세요 ː 엄마, 아빠 고마워요. 착한 딸(아들) 되겠어요 ː 엄마, 아빠의 따뜻한 사랑 항상 감사하고 있어요 ː 사랑하는 엄마, 아빠 고맙습.. 국어공부방 2016.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