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부산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이소희
율가(栗家)
갓 삶은 뜨끈한 밤을 큰
칼로 딱, 갈랐을 때
거기 내가 누워있는 줄 알고 소스라치게
놀랐다
벌레가 처음 들어간 문, 언제나 처음은
쉽게 열리는
작은 씨방 작은 알 연한 꿈처럼 함께
자랐네
통통하니 쭈글거리며 게을러지도록 얼마나
부지런히 밥과 집을 닮아갔는지
참 잘 익은 삶
딸과 딸과 딸이
둘러 앉아 끝없이 밤을 파먹을 때마다
빈 껍질 쌓이고 허공이 차오르고 닫힌 문이 생겨났다
말랑한 생활은 솜털 막을 두르고 다시 단단한 문을 여미었다
강철 같은 가시는 좀도둑도 막아주었다
단단한 씨방 덜컹덜컹 뜨거워지는데
온 집을 두드려도 출구가 없네
달콤한 나의 집, 차오른 허공이 다시 밥으로 채워질 때, 혹은 연탄가스로 뭉실뭉실 채워질 때
죽음은 알밤처럼 완성된다
죽음은 원래가
씨앗이기 때문이다
약력: 1974년생. 본명 이소연. 경희대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졸.
[2018 신춘문예-시 심사평] 선명한 주제의식·사물에 대한 섬세한 접근 돋봬
올해 응모작들은 사회의식을 갖추거나 삶의 현장감
있는 작품이 드물고 너무 정감적으로 흘러가서 주제의식이 미약한 것 같다.
감각적이고 감성적이며 말초적인 작품들에서 삶의 성찰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는 생각이 든다. 작품들이 상투적인 표현으로 흘러 미학적 성숙도도 많이 떨어지고 상상력의 고갈도 보여준다.
주제의식을 갖추지 못한다면 산뜻한 이미지로서 독자의 영혼을 끌어당기는
맛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지도 못하고 선뜻 눈이 가는 작품이 부족했다. 일반적인 생각에 머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선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서인지
선명함을 지닌 당찬 작품은 쉽게 눈에 띄지 않았다. 철학적이고 투철한 저항 의식을 담는다든가 명료한 이미지를 끌어오지 못함이 짙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중에서도 최종심에 오른 '냄새가 구석을 살핀다'
'달맞이꽃' '탄생비화' '당도' '겨울파밭' '율가' 등은 일반적 범주를 뛰어넘은 수작으로 여겨진다. 이 중에서 '율가'를 당선작으로 미는
힘은 주제의식이 선명하고 사물에 대한 접근 방식이 섬세하다는 것이었다. 함께 보내온 작품들도 고른 수준이어서 선택에 어렵지가 않았다. 힘든 시의
길에 좋은 작품을 남길 것을 요구한다.
심사위원 강은교·강영환
'문예당선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국제신문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미륵에 묻다 / 김형수 (0) | 2017.12.31 |
---|---|
[2018 한국경제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새살 / 조윤진 (0) | 2017.12.31 |
[2018 광남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첫 차 / 심상숙 (0) | 2017.12.30 |
[2018 불교신문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애 / 이윤순 (0) | 2017.12.30 |
[제4회 경북일보 문학대전 시부문 대상] 소금이 온다 / 김은순 (0) | 2017.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