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전국직장인 신춘문예 수필 당선작]
헛기침
김만년
밤이 이슥해지자 상을 차리고 제향을 사른다. 아버지 생전에 하신대로 열을 맞추어 음식을 진설하고 정성을 들여 잔을 올린다. 늘 아버지 옆 자리에서 지켜만 보다가 오늘은 내가 제주祭主가 되어 처음으로 아버지를 뵙는 것이다. 종헌終獻이 끝나고 긴 부복의 시간을 가졌다. 아버지 생전의 나날들이 아리게 스쳐간다. 묵배 끝에 일어설 무렵 아이들이 뒤에서 '킥킥'웃는다. 이유인즉 내가 할아버지 헛기침 흉내를 내더라는 것이다. 어색하다며 아내도 아이들을 거든다. 그런가 싶기도 해 뒷머리를 긁적인다.
지금은 멀어져간 풍습이지만 삼십여 년 전만 하더라도 집안에 대제大祭라는 것이 있었다. 조부님과 아랫대 24종반 제종당숙들, 그리고 조카항렬까지 한자리에 모이면 종갓집은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돼지를 잡고 떡메를 치고 아이들은 구운 가래떡을 들고 마당을 몰려다니던 시절이었다. 상이 진설되면 나는 언제나 아버지의 두루막 뒷자락에서 절을 했다. 엉덩이를 치켜들고 종조부님의 헛기침소리에 귀를 쫑긋 세우곤 했다. 헛기침은 제일 연장자가 하며 그때까지 불문율로 내려오고 있었다.
엄격한 유가풍이 몸에 밴 아버지는 유난히 헛기침이 많았다. 어릴 적 아버지의 헛기침은 예령신호 구실을 했다. "어흠~"하며 마당을 들어서시는 아버지의 헛기침소리에 우리들은 후다닥 읽던 만화책을 숨기고 공부하는 척 했으니 말이다. 지금 생각해보니 '얘들아 아버지 들어가신다.'는 시간적 말미를 부러 주신 것이 아닌가도 싶다. 아버지의 헛기침은 기상나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식전 밭일을 마치고 마당에 푸성귀들을 부리며 "어흠"하시는 헛기침 소리에 남매들은 부리나케 일어나곤 했다. 어쩌다가 혼날 짓을 해도 밥상머리에서 "어흠~" 한 번 하시는 것으로 끝이었다. 그처럼 어릴 적 아버지의 헛기침은 자식들에게 말없는 규율이며 엄격한 훈시이기도 했다.
아버지의 헛기침은 난처한 자리를 피하는 수단이 되기도 했다. 집안일로 어머니의 잔소리가 길어질 때 아버지는 말로 응수하는 법이 없었다. 흠흠, 하며 철저히 묵언으로 일관하시다가 점점 당신 자신이 궁지에 몰리시면 "어흠, 허허~" 하시며 휑하니 자리를 뜨는 것이다. "저, 저 양반 좀 보소!" 하시며 어머니는 답답증으로 속이 뭉그러지곤 했다. 아버지의 헛기침은 싸움을 말리는 기능을 발휘할 때도 있었다. 집안대제가 끝나면 제종당숙들이 빙 둘러앉아 음복을 나누어 드신다. 몇 순배의 술잔에 얼큰한 취기가 오르면 으레 제법이나 이장문제를 놓고 논쟁을 벌린다. 결국 도가 지나쳐 언성들이 높아진다. 그럴 때 조용히 묵관하시던 아버지가 "어흠~, 고만들 하게"라며 큰 기침 한 번이면 좌중은 순식간에 조용해진다. 서열이 높은 점도 작용했을 터이지만 아버지의 헛기침은 그처럼 백 마디 말보다 유효할 때도 있었다.
헛기침은 먼 옛날부터 사용되어 온 언어 이전의 소통수단이란 생각이 든다. 어쩌면 우리민족만이 가지고 있던 고유한 음성학적 특질이 아닐까도 싶다. 목젖을 타고 발화되는 후두음이 선대先代에 남성중심의 양반 유교문화와 어우러지면서 하나의 의사표현 양태로 정착되지 않았을까? 화회탈에 나오는 초랭이나 관아의 이방이 헛기침을 한다는 것은 선뜻 상상이 가지 않지만 양반이 도포자락을 휘날리며 육간대청 앞에서 "이리 오너라! 어흠 흠" 하는 것은 충분히 짐작이 가기 때문이다. 그처럼 말을 아끼고 은유의 덕목을 중시하는 유가적 전통이 이심전심의 언어로 체화된 것이 헛기침이 아닌가 싶다.
헛기침은 수많은 언어를 내포하고 있다. 그 숨은 뜻을 다 알아챌 수 있는 사람은 가족들이다. 헛기침의 장단과 강약에 따라 하던 동작을 멈추거나 짐작되는 상황에 대처한다. "날이 꾸무리하다."는 말이 빨래 걷어라는 속뜻이 있는 것처럼 헛기침으로 아침밥을 재촉하기도 하고 밥상머리 언쟁을 중지시키기도 한다. 대문 앞 헛기침 소리를 듣고 젖을 주던 며느리가 옷매무새를 고치기도 하고 식솔들은 하던 동작을 멈추고 어른 맞을 채비를 한다. 이처럼 헛기침은 환기와 예령 기능 외에도 수없이 많은 지시와 생활규범을 함의하고 있다. 이 불립문자를 다 알아 챌 수 있는 사람은 오랜 유대로 맺어진 가족들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우리 실생활에서 헛기침만큼 경제적인 표현수단이 또 있을까?
차츰 헛기침이 사라지는 시대에 살고 있다. 급격한 핵가족화와 도시중심의 삶에 떠밀려 집안에 어른이 없다. 삼대가 함꼐 사는 예도 드물다. 어쩌다 함께 산다고 해도 그 옛날 호기스럽던 아버지상은 사라진 것 같다. 어쩌면 시대의 퇴물처럼 공명한 헛기침으로 잉여인생을 소일하는 것이 도시에서 노년老年을 보내는 이 시대의 아버지 상이 아닐까. 아버지 역시 적조한 노년을 보내셨다. 상처하시고 고향을 떠나 도시의 방 윗목을 지키다가 쓸쓸히 가셨다. 자식 따라 도회로 떠밀려서 온 삶이기에 어딘들 정 붙일 곳이 있었을까? 봄이면 신도시 철로 변을 개간해서 채마밭을 가꾸는 것이 아버지의 유일한 낙이었다. 이따금씩 기차가 지나가면 아버지는 구부정한 옹이 손을 흔들며 헛헛한 기침을 하시곤 했다. 손바닥만 한 된비알에 먼 기억의 실금을 촘촘히 그어놓고, 아버지는 어쩌면 긴 실향기失鄕記를 쓰고 계셨을지도 모른다. 도시에 살면서부터 근엄하고 호기스럽던 아버지의 헛기침도 차츰 쇠잔해져 갔다. 때가 되었으니 밥을 재촉하는 신호와 밤새 안녕하시다는 아침기척 정도로 그 기능도 축소되었다. 낡은 명심보감을 읽거나 부치지 않을 편지를 쓰시며 방 윗목에서 간간히 내뱉던 아버지의 헛기침은 어쩌면 사라져가는 옛것들을 호명하는 외로운 독백이었는지도 모른다.
정갈하고 풍성한 제사상을 바라본다. 살아생전에 이처럼 풍성한 상을 차려 드린 적이 몇 번이나 있었던가. 육포와 삼채를 오가며 살갑게 당신께 수저를 권해드린 적이 있었던가. 생전의 죄스러움이 촛불에 스치운다. 그래서 산 효자는 없고 죽은 효자는 있다고 했는가. 어리석은 게 자식인지라 이제는 죽은 효자가 되어 아버지를 뵙는다. 소지燒紙를 사르고 철상을 하자 막내가 윗옷을 훌러덩 벗는다. "음복도 제사다. 아직 제사 안 끝났다."는 나의 말에 "에이 아부지도 안 계신데 뭐 어때요."라며 밉살스럽게 응수를 한다. 그런가보다. 나는 아직 신참 제주이기도 할 뿐더러 아무려면 아버지의 헛기침 한 번의 무게만큼이나 할까. 헛기침은 그만한 성품과 연륜이 따라야 자연스러워지는 법이다. 세월의 더께가 더 쌓이면 언젠가 내 헛기침도 자연스러워지기도 할 것이다. 방문을 열고 금방이라도 "어험~"하며 나오실 것 같은 아버지의 헛기침, 그 말 없는 말씀이 더 없이 그리워지는 저녁이다.
수상소감
해토 무렵이다. 겨우내 움츠렸던 땅이 가쟁이 같은 햇살을 머금고 굼실굼실 부풀어 오른다. 나무들도 물관을 열고 겨우내 움츠렸던 팔을 뻗어 기지개를 켠다. 농부들도 묵정밭에 거름을 내며 한해의 농사준비를 시작한다. 하늘이 시리고 파랗다. 이즈음에 봄소식이 찾아왔다. 당선소식이었다. 죄송하고 고맙다. 직장 일을 핑계 삼아 농부들처럼 부지런하지도 못했고 정직하게 땀 흘리며 긴 사숙의 시간을 가지지도 못했다. 두어 평 글밭을 일구어 놓곤 한해 농사를 다 지은 양 밖으로 나돌기가 일쑤였다. 그러다가 잡초 무성한 덤불을 걷어내고 밀린 숙제처럼 띄엄띄엄 글을 썼다. 늘 치열성과 지속성이 문제였다. 중단하지 말고 부지런히 글밭을 일구라는 격려로 받아들이고 싶다. 금년엔 좀 더 부지런한 글쓰기 농부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해 본다.
집이 광화문에 가깝다 보니 촛불집회를 자주 본다. 때로는 방관자처럼 지나기도 하고 때로는 촛불을 들기도 했다. 여전히 정치의 날씨는 사납고 을씨년스럽다. 통과의례라고 위안하기엔 너무 가혹하다. 그러나 태풍이 몰아치는 순간은 두렵지만 태풍이 지나가고 나면 바다는 다시 잔잔해진다. 그리고 건강한 바다로 재생된다. 그렇게 받아들이고 싶다. 지금은 가름과 분노로 출렁이지만 분노가 가고나면 다시 평화가 찾아오리라. 결국 섞이고 용해되어 하나의 바다로 흘러가리라. 자정과 재생능력을 믿는다. 내 글도 그 바다 언저리 어디쯤으로 흘러갔으면 좋겠다. 팍팍한 삶 속에 따뜻한 불씨 하나 지폈으면 좋겠다. 언 손 녹이며 한 촉 한 촉 움터 오는 봄처럼,
부족한 글을 선해주신 심사위원님들께 머리 숙여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더 낮게 엎드려 열심히 쓰겠다. 그리고 삶에 지친 직장인들에게 이렇게 멋지고 뜻있는 신춘잔치의 마당을 마련해주신 ‘전국 직장인 신춘문예’ 관계자 여러분에게 큰 고마움을 전한다.
김만년(金滿年1961~)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석사졸업
2004년月刊文學(시)등단. 2015년<경남신문신춘문예>수필당선
근로자문화예술제대통령상(詩). 공무원문예대전 국무총리상(수필).전태일문학상 등
심사평
작년 처음 시작한 ‘전국 직장인 신춘문예’에 올해는 수필도 시. 소설과 함께 한자리를 했다. 그 결과 응모작도 많았고, 작품수준도 예사롭지 않았다. 수필만의 고유한 형식과 방법이, 다른 장르에 뒤지지 않는 문학적 심미성을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이번 신춘문예에서도 그랬다. 본선에 오른 작품은 개성적인 세계를 보여주었고 완성도도 수준급이었다. 이제 수필 쓰기가 대중의 취미수준을 넘어서 전문영역으로 성장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전반적으로 수준 향상은 의심할 여지가 없었지만, 부분적으로 수필의 병폐에 가까운 관습과 통속은 여전했다. 화제가 가족이야기로 쏠리는 경향이 그것이다. 시나 소설이 허구의 세계에 빗대어 문학적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드러낸다면, 수필은 작가가 직접 말하는 교술 방법을 취한다. 그래서 수필가는 개인적인 인격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윤리적 가면을 선택한다. 이것이 어쩔 수 없는 수필의 운명이긴 하지만, 여기에 머물고서는 수필이 수확할 수 있는 문학적 성취는 미미할 수밖에 없다. 가면의 두께가 얇아야 수필의 진솔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가족이야기는 수필가가 가장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이야깃거리지만, 어떤 경우에도 솔직하게 말하기는 가장 어려운 대상이다.
<까치발>과<헛기침>이 마지막으로 남았다. 두 작품은 우열을 가리기 어려웠다. 어느 것을 선정하든 뽑힌 작품은 충분히 자격을 갖추었고, 다른 작품은 운이 없다고 할 수 밖에 없다. 심사위원의 주관적인 관점이 작동할 수밖에 없다. 작품 창작이 인간과 세계에 대한 해석인 것처럼, 독자나 평자의 독서도 작품을 자기관점에서 해석하는 일이다. 굳이 그 해석에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한다면 <헛기침>의 주제가 독창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까치발>은 주제가 자로 잰 것처럼 정확하게 구현했다. 마치 교과서 어디에서 학습한 것 같은 느낌을 줄 정도였다. 이것이 흠으로 작용했을는지 모른다. 어느 절에 있는 난초를 몰래 캐려고 했던 순간을 풍성한 언어로 이야기 하고 있는<도둑>도 좋은 작품이다. 수필보다는 소설에 더 가까운 작품이 아닌가 싶다. 필력이 돋보였다.
당선자에게는 축하의 박수를 보낸다. 수필을 아끼는 좋은 수필가가 되기를 기원한다.
-신재기(문학평론가. 경일대교수), 고미석(동아일보 논설위원)
|
'문예당선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동리목월문학 신인상] 착각 / 김용숙 (0) | 2017.04.02 |
---|---|
[2016 제4회 등대문학상 수필 우수상] 바다와 어부 /조미정 (0) | 2017.03.29 |
[2009 동양일보 신춘문예 수필 당선작] 호박 / 정경자 (0) | 2017.03.17 |
[제7회 중봉조헌문학상 수필 우수상] 벽 / 김근혜 (0) | 2017.03.13 |
[2008 평사리 문학 수필 대상] 인생학교 / 정성희 (0) | 2017.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