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째 재미와 깨달음이 있는 수필이 있고, 다섯째 재미와 깨달음과 감동이 있는 수필이 있고, 여섯째 문학성이 높은 명 수필이 있다. 있고 재미가 있으면 그만 그만한 작품일 테고, 그것에 감동이 있고 오래도록 기억되고 다시 읽혀지는 작품은 명 수필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이다. 작가는 글을 쓸 때 문법에 맞는 바르고 정확한 문장을 써야 한다. 문장은 간결하고 담백해야 하고 어려운 단어는 되도록 피해야 하고 단어나 문장이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한 문장이 50자를 초과하게되면 뜻이 잘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니 되도록 너무 긴 문장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적당한 길이의 문장이 두 세 차례 오고 짧은 문장을 쓰는 것이 좋다. 짧은 문장을 반복하여 쓰는 경우 는 긴박감을 주고자 할 때에만 좋다. 해야 하기에 그것도 원고지 15매라는 작은 분량에서 해야 함으로 문장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서두에서 말미까지 일관되게 하나의 주제를 선명하게 이끌고 가야함은 물론 작가의 주장이 논리에 맞는지 다시 확인하고, 사물이나 상황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현장감 있게 표현해야 할 것이다. 강조나 직유나 비유를 적절히 구사해서 독자가 머리 속에 실제 상황과 꼭 같은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작가는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글에 제대로 옮겨졌는지 잘 살펴보아야 한다. 감정에 치우친 나머지 자신은 옳게 표현했다고 생각하나 뜻대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것은 작품 다듬기를 할 때 작가는 독자가 되어 냉정하게 자신의 글을 한 번 더 살펴보아야 한다.
독자는 외면하기 때문이다. 종종 지루한 글을 만나게 되는데 그것은 글의 구성이 탄탄하지 않아서 그렇게 되는 경우다. 방법으로 말할 것인가 하는 말하는 방법 찾기가 바로 구성이다. 구성에는 단순구성, 복합구성, 산만 구성, 긴축구성, 액자식구성등 여러 구성이 있는데 소재나 주제에 따라 구성을 달리 선택해야 한다. 야 하고, 이야기의 속도를 느리지 않게 하여 가급적 긴장감을 주어야 한다. 독자를 놓치지 않기 위해 서는 쉽게 결과를 알리지도 말아야 한다.
거부감을 줄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의식 없는 수필가들이 그런 글을 이제껏 써왔기 때문에 독자들 로부터 ‘수필은 신변잡사다.’하는 소리를 듣게된 것이다. 교훈적이거나 설교적이어서는 안 된다. 또 질책하거나 명령하는 형식은 더더욱 안 된다. 은근하게 암 시적으로 깨달음을 던져 주어야만 한다. 그래서 수필이 어렵다는 것이다.
아니겠는가. 감동과 완성도는 비례한다고 본다. 완성도란 좋은 소재에, 유려한 문장력, 적절한 구성, 상징과 은유를 구사한 멋들어진 표현, 주제가 선명하게 살아나고 논리가 정연했을 때 감동이 일어난다. 그러니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또 진부한 표현이나 독창성이 없는 글은 감동을 줄 수가 없다. 깊은 사색에서 새로움을 발견하고 삶의 의미를 찾아야 감동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감동이란 말 그대로 마음이 움직이는 것이다. 통곡을 끌어내는 감동도 있을 것이고, 가슴을 짠하게 하는 감동도 있을 것이다. 너털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감동도 있는 반면에, 잔잔한 미소로 긴 여운을 남기는 감동도 있을 것이다.
고, 깨달음이 있고, 감동이 있으면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누구라도 이견을 달지 못하게 정말 확실하게 해두려면, 그 작품을 읽었던 독자가 먼 훗날 책장에서 그 책을 꺼내 다시 읽고싶은 작품이라야 진정한 문학성을 얻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수필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좋은 수필쓰기 /최원현 (0) | 2016.04.02 |
---|---|
[스크랩] 수필의 `隨筆`을 깨트립시다/이관희 (0) | 2016.04.02 |
손광성님의 수필 특강 (동영상) (0) | 2016.03.22 |
[스크랩] 수필의 바른 이해-----임병식수필가 (0) | 2015.12.22 |
[스크랩] 수필을 죽이는 독소와 살리는 요소 (0) | 2015.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