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휘력이나 표현 기술을 늘린다. ‧ 읽다가 눈이 번쩍 띄는 낱말은 체크한다. ‧ 희한한 표현도 체크한다. ‧ 쓰다 막힌 낱말.표현은 꿈길에서도 물고 늘어진다. ‧ 내 나름의 관찰.표현으로 자신도 감동되게끔 한다. 2. ‘메모’는 문장력 향상의 보증수표다. ‧ ‘명작’의 뒤안길엔 반드시 [메모 광주리]가 있다. ‧ ‘메모’는 글 쓰기의 첫 관문인 글감의 해결사다. ‧ ‘생활의 주변’ 모두가 메모의 대상이다. ‧ 번득이는 순간적 ‘영감’을 메모는 붙잡아 준다. 3. 애매한 말은 사전을 뒤지며 쓴다. ‧ ‘정확한 문장’은 정확한 언어에서 시작된다. ‧ ‘사전’은 글 쓸 때의 절대적 필수품이다. ‧ 낱말의 ‘사전적 의미’보다 ‘문맥적 의미’에 유의하라 ‧ 언젠가는 써먹을 말이면, 붉은 줄을 치거나 노트로 만들어 두라. 4. 모범문이나 신문의 칼럼을 신중히 읽는다. ‧ ‘좋은 글’의 장점을 분석하여 모방한다. ‧ 참신한 주제, 인상적인 화제, 변화 있는 구성, 운치 있는 표현은 문장의 영원한 꿈이다. ‧ 특히 ‘감명’의 요인인 ‘표현 기술’을 명심하며 읽는다. 5. ‘써 보기’, ‘고쳐 보기’는 글 쓰기의 왕도 ‧ 뜸을 들이고 읽어라. ‧ 색연필을 가지고 읽어라. ‧ 장소를 달리 해서 읽어 보라. ‧ 가능하면 제 3자에게 읽혀 보라. 6. 설득의 기법을 익혀 둔다. ‧ 명쾌한 논리적 구성 ‧ 쉽게 묻어 갈 어휘,표현 ‧ 튼실하고 구체적인 화제(소재) ‧ 재미있는 표현 기교 7. 구체적인 실례를 머리에 그리며 쓴다. ‧ 독자는 구체적 경험이나 실례를 좋아한다. ‧ 구체적 내용은 현장감을 더하여 잘 이해된다. ‧ 개성적 경험, 재미있는 화제는 독자들이 오래 기억한다. 8. 소리내어 읽으면서 쓴다. ‧ 산문에도 ‘가락’과 ‘흐름’이 있다. 부드럽게 읽히게끔 한다. ‧ 음독하면서 쓰면, 글의 잘못된 부분이 잘 드러난다. ‧ 음독하노라면 자기의 글을 독자의 위치에서 바라보게 된다. ‧ 여러번 음독하노라면 글의 내용이 자기 만족에 치우쳐 있다는 걸 발견하게 된다. 9. 시간을 정해서 써 본다. ‧ 시간을 정해 놓고 쓰면 집중력이 일어나 글을 잘 쓸 수 있게 된다. ‧ ‘몰아붙여 쓰기’에 숙달되면 글 쓰기의 순서와 요령이 몸에 배어 글 쓰기가 쉬워진다. ‧ 숙달되면 수험작문에 크게 도움이 된다. 10. 크게 참고될 책은 꼭 같은 걸 세 권을 사라 ‧ 필요하다고 여기는 곳은 카드나 노트에 오려붙인다 (한 권은 짝수용으로, 한 권은 홀수용으로) ‧ 나머지 한 권은 보관용으로 간직한다.
|
'국어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주 사용하는 외래어..자세히 알아볼까요? (0) | 2015.12.26 |
---|---|
[스크랩] 각종 경조사 인사말 (0) | 2015.12.26 |
[스크랩] 우리말의 숫자와 물품별로 세는 단위 (0) | 2015.12.26 |
[스크랩] 훌륭한 문장 작성법 10가지 (0) | 2015.12.26 |
[스크랩] 바르게 띄어쓰기 (0) | 2015.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