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당선 시

[2019 광남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혀를 삼키는 나무 / 조경환

희라킴 2019. 1. 2. 10:38




[2019 광남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조경환


혀를 삼키는 나무
 


그를 떠나보낸 건 혀였다

혀가 어른이 된 나무를 스튜디오에 불렀다 

머나먼 이국으로 흙 한 줌, 물 한 모금 보자기에 싸여 보내졌다

어른의 모습으로 그가 돌아왔다

-어머니 찾으러 왔어요

1번 카메라 앞에서 젖은 가지를 후드득 턴다

붉은 혀가 더듬더듬 어떻게 살았느냐며 묻는다

허공에 파노라마처럼 나무의 성장과정이 실금처럼 얽히고 설킨다

-누굴 원망한 적은 없는 걸요

심호흡 한번으로 다 풀 수 없다는 듯이 고개떨군다

-우는 법도 잃어버렸어? 혀가 묻는다

-오는 내내 비가 내렸어요

더 가벼워지지 않으려고 무너지지 않으려고 날아왔죠

뿌리를 내리기까지 나무는 살아 있는 것이 아니더군요

새 뿌리에 새 말이 고인다 새 흙이 덮이고

새 잎이 수북이 쌓인다 

혀가 울음 섞인 목소리로 말한다

-꺾꽂이 된 거군요

혀의 목소리가 갈라진다 혀가 3번 카메라를 보는 사이 

내가 어미라는 말이 들린다 

혀가 눈치채지 못할 만큼 저음이다

아랫입술 밑에서 나오는 작은 소리다

갑자기 그가 꺼이꺼이 운다 

혀가 놀라서 눈을 크게 뜨고 

그의 등을 두드린다

어른이 된 나무가 몸속 깊이 혀를 꿀꺽 삼킨다.




조경환 △전북 고창 출생 △한국방송통신대 국어국문학과 재학 △명금문학회 회원 △우송문학회 회원







입양 글감…민족사의 비애 인내의 언어로 전개


시의 역할과 기능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다른 공연예술과 영상예술이 사람들 주변에 지나치게 가까이 다가와 있기 때문이리라. 

특히 핸드폰의 발달로 인해 모든 예술을 실시간으로 즐길 수 있게 되자 더 이상 시를 찾지 않게 된 듯도 싶다. 이제는 책을 펴고 앉아 읽으며 즐기던 기존의 고급 예술인 시가 설자리를 잃은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남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투고된 원고는 상당했다. 

어쨌거나 선자는 정성을 다해 읽으며 원고더미를 줄여갔다. 우선 15편의 우수작을 골라낸 뒤 읽고 또 읽으며 엄선을 거듭해 나갔다. 마침내 좋은 작품 7편이 남게 되었다. 이렇게 엄선을 하는 과정에 투고한 사람의 이름도 확인이 되었다. 아는 이름이 있으면 과감하게 떨어뜨렸다. 역차별을 당한 셈이다.

최종 예심에 오른 시 7편은 김향숙의 ‘달의 계곡’, 김정순의 ‘필사의 밤’, 조수일의 ‘낯선 조문’, 김휼의 ‘악어가 사는 집’, 김현곤의 ‘남간재 구름다리’, 이호영의 ‘모퉁이 찻집에서’, 조경환의 ‘혀를 삼키는 나무’였다. 이들의 시 7편을 중심으로 투고자의 나머지 시들도 거듭 검토한 결과 김현곤의 ‘남간재 구름다리’, 이호영의 ‘모퉁이 찻집에서’, 조경환의 ‘혀를 삼키는 나무’를 남기고 나머지는 옆으로 밀어냈다 그런 뒤 다시 또 남은 3편의 시를 여러 차례 숙독했다. 거듭 숙독한 끝에 우선 먼저 김현곤의 ‘남간재 구름다리’를 제외시켰다. 이호영의 ‘모퉁이 찻집에서’와 조경환의 ‘혀를 삼키는 나무’만 남게 된 것이다. 

이호영의 ‘모퉁이 찻집에서’는 서정이 풍부한 시, 공감이 풍성한 시이다. 하지만 그런 장점과 달리 예의 시와 함께 투고된 시들에는 추상적 관념이 많았다. 이호영의 시적 역량을 가늠하기가 힘들었다는 뜻이다. 읽고 또 읽은 끝에 조경환의 ‘혀를 삼키는 나무’를 2019년 광남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의 당선작으로 뽑기로 했다.

나머지 시들도 우수하지만 이 시는 ‘머나먼 이국’으로 입양을 떠났던 아이가 ‘어른의 모습으로’ 돌아와 어미를 찾는 방송국 스튜디오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우선은 아이를 나무로, 그 나무를 이국으로 떠나보낸 원인을 혀로 알레고리하고 있는 것이 재미있다. 그런 재미와 함께 전개되고 있는 민족사의 비애를 인내의 언어로 전개하고 있는 면도 긴장감을 준다. 민족사의 비애와 함께 섬세한 운산이 담겨 있는 조경환의 ‘혀를 삼키는 나무’를 당선작으로 민다. 

당선된 사람에게는 축하를, 낙선된 사람에게는 격려를 보낸다.


심사위원 이은봉 시인(광주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