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천강문학상 시부문 대상]
나비물 / 유종인
박수소리를 듣는다 그 수도가 박힌 마당은
수도꼭지를 틀 때마다 콸콸콸 물의 박수를 쳐준다
꾸지람을 듣고 온 날에도 그늘이 없는 박수소리에
손을 담그고 저녁별을 바라는 일은 늡늡했다
그런 천연의 박수가 담긴 대얏물에 아버지가 세수를 하면
살비듬이 뜬 그 물에 할머니가 발을 닦으셨다
발등의 저승꽃에도 물을 줘야지
그런 발 닦은 물조차 그냥 버려지지 않는다
한 번 박수를 부은 물의 기운을
채송화 봉선화 사루비아 눈치 보는 바랭이풀 잡초까지 물너울을 씌워주고도
박수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반쯤을 남긴
세숫대야 물을 내게 들려 손님을 맞듯 대문을 여신다
뿌리거라, 길이 팍팍해서야 되겠냐
흙꽃*에게도 물을 줘야지
최대한 물의 보자기를 펼치듯 헹가래를 치는 물
마지막 박수는 이렇게 들뜬 흙먼지를 넓게 가라앉히는 일,
수도꼭지가 박수쳐서 보낸 물의 여행은
아직도 할머니 발등을 적시고 유전(流轉)하는 박수소리로
길을 떠나 사루비아 달콤한 핏빛에도 스며뒀으니
실수하고도 박수를 받으면
언젠가 갸륵한 일들로 재장구쳐오는 날도 있으리라
끝없이 마음의 꿀을 물어오는 저 물의 호접(蝴蝶)은
어느 근심의 그늘 밑에 두어도 내내 환하다
*흙꽃: 흙먼지의 방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시부문 대상 수상소감
유종인 (필명 유종서)
기록적인 폭염의 기나긴 나날이었다. 땅에 떨어진 매미는 주검이라기엔 너무 멀쩡했다. 그늘마저도 더웠지만 그 그늘을 짓는 나무와 건물과 구조물들이 말없이 생각의 깊이를 건네주고 있다고 여겨지기도 했다. 내 몸이 드리우는 그늘엔 변변한 피난처도 되지 못했지만, 그런 그늘을 들여다보는 시간마저 무용한 것은 아니었다.
그늘졌다라는 말을 부정적인 것만이 아닌 긍정적인 호의(好意)로 바꿀 수 있는 것도 시절의 불편함이 주는 전향적인 생각의 계기였다. 그것은 또한 시적 너름새이기도 했다.
나라와 백성을 위해 분연히 일어선 홍의장군 곽재우 선생의 뜻으로 된 상을 받게 돼 영광이다. 선생의 의기와 올곧은 정신,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는 그 숭고한 이타심을 감히 내 글의 자양분으로 삼으라는 주문으로 여기겠다.
불민하고 부족한 글에 과분한 격려를 주신 심사위원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 자애와 애민의 정신이 배인 훌륭한 문학상과 인연을 맺게 된 의령문협 관계자분께도 인사를 드린다.
어려움을 무릅쓰고 묵묵히 일상의 평화를 일궈내는 주변 모든 분들께도 감사를 드린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말의 몸짓과 삶의 율동으로서의 시
2018년 제9회 천강문학상 시 부문에는, 늘 그랬던 것처럼 수많은 응모작이 접수되었다. 2천 편 가까이 모여진 작품 중에서 대상 한 편, 우수상 한 편을 고르기는 정말 쉽지 않은 일이다. 주최하는 쪽에서 그나마 예심과 본심을 구분해 일감을 나누어주었기 때문에 심사하는 일을 그런대로 수월하게 갈무리할 수 있었다. 나는 이번 대상 수상작을 「나비물」로 선정했다. 선정하는 과정에서, 예상한 것에 비해 그다지 큰 어려움은 없었다.
이 작품을 선정하면서, 나는 시(詩)란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 하는 생각의 틀을 세워볼 기회를 가졌다. 내가 늘 시니 소설이니 비평이니 하는 생각 속에서 오래 동안 살아 왔어도 오랜 문학적인 체험에 의한 원론을 체계화시켜본 일은 없어서였다.
우선 시는 말로 이루어진 것이다. 세상에는 말로 이루어지는 것들이 적지 않다. 이 중에서도 수많은 언어 행위의 한 가지가 바로 시인 것이다. 그런데 세상에서 가장 말이 되지 않는 말이 있다면, 그게 시다.
언어학자 촘스키는 언젠가 짧은 예문을 만들어 보았다. 말이 되지 않는 말의 한 예문을 삼기 위해서였다. 자신의 모국어인 영어를 통해 만들어본 의미론적으로 성립이 되지 않는다고 본 예문은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
였다. 굳이 우리말로 옮기자면 '색깔 없는 푸른 생각들이 깊이 잠자고 있다.' 정도가 될 것 같다. 이 번역 문장을, 무색투명에 가까운 녹색 관념이 극단적으로 잠자코 있다, 라고 수정한다고 해도 의미론적으로 완결되지 않는 듯싶다. 이와 같이, 말이 되지 않는 말이 바로 시의 (혹은, 시적) 언어인 것이다. 촘스키는 말이 되지 않는 말의 예문을 만들다가, 우연히 (혹은, 우연찮게) 한 문장으로 된 시를 창조한 것이다.
대상 수상작인 「나비물」은 '마당은 박수를 쳐주고, 나는 박수소리를 듣는다.'라는 말이 되지 아니한 말의 상황에서 시상이 비롯되고 있는 시다. 나는 애최 이 도발적인 언술 상항을 주목했다. 시의 소재가 되고 제목으로 활용된 '나비물'이라는 말도 재미가 있었다. 나비물의 사전적인 의미로는 '옆으로 쫙 퍼지게 끼얹는 물'을 가리킨다. 마치 나비가 날개를 펴는 것처럼 시각적인 느낌이 살아있는 말이다. 말들이 쌓여 있는 창고 속에, 먼지를 뒤집어쓴 채 한 구석에 방치되어 있는 말도 이제 주인을 만난 셈이다.
시인은 자기 나라의 말을 사랑하는 임무를 지닌 사람이다. 우리나라 시인이라면 응당 우리말을 사랑하는 마음의 끝을 좇아야 한다. 대상 수상자 「나비물」에서 너울처럼 큰 물결로 펼치는 과장적인 표현의 '물너울'과 흙먼지의 방언이라고 알려진 '흙꽃'의 대조는 삶의 율동처럼 느껴진다.
다시, 시란 무엇인가?
시는 말씀 '언(言)' 변의 의미부와 절 '사(寺)'의 음성부로 이루어진 자형과 자원을 가진 말이다. 말로 된 것이 시다. 사(寺)는 시(寺)로도 읽힌다. 이 말은 다시 두 겹의 뜻으로 쪼개어지기도 하는데, 터전(土)과 마디(寸)가 바로 그것이다. 마디는 규칙이나 법칙을 말한다. 시는 말로 된 규칙적인 터전(형식)을 지녔다. 청각적인 율동의 반복 재생이 시의 형식이다. 시(운문)에는 줄글(산문)에서 쉽사리 볼 수 없는 구성진 말의 물결 같은 흐름이 있다. 그래서 말의 몸짓이 뚜렷한 시일수록, 언어의 육체성을 부여하는 말짓의 현저한 소산으로 한결 남게 되는 것이다.
요컨대 수상작인 「나비물」은 말의 내면적인 몸짓을 가졌고, 또 이것은 삶의 율동이라는 내용을 추스르고 있다. 마당에 물을 뿌리는 일도 비범한 것으로 승화시킨다. 7080과 같은 지나쳐온 삶의 내력이 후락한 풍경화처럼 그려져도, 우리에게는 언제나 무수한 기억들, 숱한 사연들이 소환되고 있거니와, 이 가운데서도 마당에 나비물을 끼얹거나 한 바가지나 한 대야의 물도 유전하거나 한다는 생각에는 우리에게 무언가 '재장구쳐오는'울림과 감동 같은 게 있다.
수상자 유종서 씨에게 축하의 말을 건넨다. 올해 한글날을 며칠 앞둔 시상식 날에 면전에서 축하라도 해야 하는데 예정된 한글날 행사 때문에 참석하지 못할 것 같다. 우수상을 받은 최류빈 씨에게도 앞으로 창작의 건투를 빈다. 이서와 구애영라는 이름으로 된 두 분의 후보자들에게도 아쉬움의 말을 전한다.
송희복 (문학평론가)
'문예당선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너무 작은 숫자 / 성다영 (0) | 2019.01.02 |
---|---|
[2019 부산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거미 / 권영하 (0) | 2019.01.02 |
[2018 영남일보 문학상 시부문 당선작] 조문 / 이서연 (0) | 2018.01.04 |
[2018 경남신문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등대 / 유하문 (0) | 2018.01.04 |
[2018 광주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물의 악공들 / 김정현 (0) | 2018.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