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수제비 뜨는 날 / 이난호
삭수제비 뜨는 날
이난호
삭수제비는 참 볼품없는 음식이었다. 통밀을 맷돌에 갈아 밀기울 채 그대로 수제비를 뜨는 것으로, 그러니까 삭수제비에서 ‘삭’의 사전적 의미는 ‘모두’ ‘남김없이’에 해당되리라. 요즘 소위 건강식으로 한참 고임 받는 통밀국수의 맛이 그것과 비슷하다 할까. 어림없다 할까.
) -->
어릴 때 우리 집에서는 가끔 삭수제비를 떴다. 유독 입맛 까다로웠던 할머니가, 상것들의 먹새라 폄하면서도 그 맛을 은근히 즐겼기 때문인데 나는 그 음식이 영 탐탁지 않았다. 그것은 색깔에서 감촉에서 맛에서 어린 내 입맛을 꼬드기지 못했다. 겉보매부터가 꼭 젖은 흙빛 같아 정나미가 떨어지는 데다가 크기와 굵기도 족히 어른의 손가락쯤은 되는 그 뜨거운 수제비 도막을 베어먹기란 이만저만 버거운 게 아니었다. 어렵게 겨우 베어 물었다해도 꺼칠꺼칠하고 질깃한 그것은 입 속에서 이리저리 굴려질 뿐 통 혀에 감길 줄 몰랐다. 그에 비해 입술 끝에 대자마자 호르륵 단숨에 빨려들어 씹을 새도 없이 목으로 넘어가는 고 매끄럽고 간간하고 하얀 기계국수의 매력을 따라붙다가 나는 그만 찬밥을 먹겠다고 어깃장을 놓고 만다. 그러니까 집안 식구는 물론 온 동네를 통 털어서 어머니의 삭수제비 솜씨를 타박치는 건 나 하나 뿐이었다.
) -->
그러면서도 나는 삭수제비 뜨는 날은 들떠 돌았다.
) -->
어머니가 삭수제비 뜰 준비로 큰 광에서 매판을 꺼내면 나는 마치 명절을 하루 앞둔 설렘으로 자진해서 마루걸레질을 하고 괜히 개밥그릇도 씻었다. 벌써 길고 지루한 맷돌소리 끝에 이어지는 왁자지껄한 동네 아낙들의 덕담과 찬사와 흥타령을 앞서 듣는다. 아낙들의 흥타령은 일쑤 청승스런 신세타령으로 빠져들어 코 눈물로 마무리되곤 했지만 아무튼 나는 그 흥건하게 떠들썩함이 좋았다.
) -->
애호박 따기에도 자진해서 나섰다. 빗물로 아랫도리를 후줄근히 적시고 까슬까슬한 호박잎에 정강이를 긁히면서 호박밭을 뒤지는 그 썩 재미 적은 일을 마다하기는커녕 그보다 몇 배 힘든 일이라도 쉽게 해치울 것처럼 신바람이 났다.
) -->
삭수제비를 뜨려면 우선 꺼무레한 여름하늘이 필수였다. 그리고 박 서방 댁과 보리 짚과 애호박 외에 동네 부자 집의 퀴퀴한 속 소문 역시 흐린 하늘에 못잖은 삭수제비의 필수요건이었다. 삭수제비가 비록 보암직하지는 않지만 분명 별미 음식이니 만큼 근방 아낙들이 죄다 불리는 건 물론 거의 매일 할머니를 찾아 뜨뜻한 아랫목을 노리고 꼬여드는 단골 마을꾼들이 몇 번 맷돌질을 거들다 내쳐 주저앉게 되니까 자연 밀을 퍼내는 어머니의 손이 듬뿍 커질밖에 없었다. 따라서 무쇠 솥에 한 가득하도록 삭수제비를 뜨려면 족히 서너 시간은 힘들고 지루한 맷돌질을 해야했다. 그때 남의 흉보기만큼 부치는 일손을 덜어주는 게 달리 없으므로 소문의 내용은 되도록 금기의 위험수위에 바짝 걸리는 아슬아슬한 것일수록 위력이 있기 마련이다.
) -->
어머니의 맷돌질 단짝은 옆집 박 서방 댁이었다.
) -->
째지는 가난 속에서 노름꾼 남편과 다섯 아이들을 거두면서도 깜냥대로 틈틈이 우리 집 일을 돕던 태생 성정이 수굿한 그녀는 무엇보다 맷밥 넣기의 명수였다. 그녀의 손가늠은 기계에 맞잡게 정확해서 맷밥을 너무 적게 먹이느라 끼니때를 어기게 한 적도 없었고 맷밥 가늠을 잘못해 설사(거친 가루)를 시키는 법도 없었다. 무엇보다 그녀는 어머니의 긴 얘기 발에 함부로 토를 달거나 되물음으로 끼어 듦 없이 시종일관 다소곳 긍정일변도여서 말 줄기를 흩지 않았다. 어머니는 당신의 말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해서 당신과 다른 의견을 거의 수용하지 못했으므로 그 점에서 박 서방 댁은 어머니와 얘기 궁합이 맞았다. 만약 박 서방 댁이 분수 모르고 수시로 어머니의 말허리를 잘랐다하면 얘기의 맥이 헷갈린 어머니의 맷돌질은 금방 엉키어 수제비감은 엉망이 되고 그때 박 서방 댁의 몰골은 더더욱 엉망이 되었으리라.
) -->
나는 몇 번 떼를 써서 맷돌 자루를 잡아 본 적이 있었는데 그때 깐엔 아주 단작스럽다 할만큼 적은 양의 맷밥을 넣었건만 대뜸 맷돌이 드르르하고 반쯤 들떠 겉돌면서 매판으로는 겉껍질만 겨우 터진 밀알이 우수수 쏟아지는, 이른바 설사가 나고 있었다. 어머니는 매우 무참해하는 나를 확 밀어내고는 거친 가루를 되집어 맷밥으로 넣으면서 오래오래 혀를 찼다. 나는 애매한 박 서방 댁에게 눈을 흘겼다. 맷밥만 잘 넣으면 뭘 해? 무지 가난하면서.
) -->
맷돌소리가 멎을막하면 한결 굵어진 추녀물 소리가 들렸다.
) -->
박 서방 댁이 맷돌을 들어내고 어머니는 애호박을 따오라고 소리친다.
) -->
나는 신 오른 대잡이처럼 튀어 일어나 작대기를 찾아들고 그 답 빗속으로 뛰어든다. 선뜩한 빗발이 등판을 탁탁 때리면 나는 선머슴 아이같이 휘파람이라도 불고 싶어진다. 겹쳐진 호박잎들을 작대기로 되도록 거칠게 헤집는다. 긴 장마엔 벌 나비도 게을러서 가루받이가 시원찮아 인공수분을 해야 한다던가.. 그 참에 꽃가루를 날려주려는 선심이다. 애호박 두 개를 따 윗도리 앞섶에 말아 안고 온다.
) --> 어른의 품으로 한 아름은 너끈할 가마솥에서 한참 허연 김이 치솟고 있다. 박 서방 댁은 부뚜막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수제비를 뜨면서 다른 발로는 연신 아궁이에 보리 짚을 밀어 넣는다. 넓적한 나무주걱 뒷등에 질척한 수제비 반죽을 철떡 붙이고 놋숟가락 자루로 숭덩숭덩 끊어 던지는 데 그 크기와 모양이 기막히게 똑 고르다. 어머니는 아궁이에서 새어나오는 연기 땜에 눈물을 질금거리면서 솥으로 떨궈진 수제비 도막들이 서로 붙지 않도록 부지런히 휘젓는다. 끓는 물 속으로 곤두박질했던 수제비 도막들은 금방 익어서 알알이 떠오른다.
) -->
마침내 수제비 뜨기를 마친 박 서방 댁이 얼른 부엌바닥으로 내려앉아 불길을 돋군다. 어머니는 애호박채와 다진 마늘과 잔칼질한 풋고추를 도마에 쌓아놓고 자못 긴장한다. 이윽고 솥전으로 빙 돌아가며 거품 방울이 뿌글거리기 시작하면 어머니는 잽싸게 소댕을 열고 이불솜처럼 소담하게 피어오르는 허연 김 다발 속으로 도마를 기우려버린다. 이내 매코롬한 밀국수냄새가 확 퍼진다.
) -->
심부름 갔던 아우가 정수리를 덮었던 호박잎을 깃발처럼 흔들면서 헌 치마를 둘러쓴 아낙들을 뒤 달고 뛰어든다. 빗발 속에서 모두 웃고 있다.